미술사와 문학, 두 분야의 전문가인 고연희 박사가 옛 그림이 주는 지혜를 설명하는 코너 ‘畵中有訓(그림 속 교훈)’을 연재합니다. 옛 그림의 내면을 문학적으로 풍부하게 해설해주는 글을 통해 현인들의 지혜를 배우시기 바랍니다.
나무 아래 홀로 앉은 인물의 꼿꼿한 모습을 보면 보는 이도 흠칫 등을 곧추 세우고 마음마저 경건해져 그림 속 고요한 기상(氣象)을 잠시 누려보게 된다. 이러한 감상이 유익했던 것일까? 소나무 아래 한 인물이 의연하게 앉아 있는 그림은 중국의 송(宋)나라부터 조선시대 말기까지 실로 꾸준히 많이 제작됐다. 이러한 그림은 ‘청송(聽松, 소나무 소리를 듣다)’ 혹은 ‘청천(聽泉, 물소리를 듣다)’으로 부르거나 ‘송하인물도(松下人物圖, 소나무 아래의 인물)’라고 보이는 그대로 부르기도 한다.
여기 소개하는 이 그림은 조선시대 허련(許鍊, 1808∼1893)이 그린 ‘송하인물도’다. 널리 알려진 그림은 아니지만 근대 이전의 그림에서 거듭 그려진 장면이라는 점에서 한번 감상해볼 만한 작품이다.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제자인 허련은 스승인 김정희와는 달리 그 당시 문사들이 요구하던 다양한 장르의 그림을 그렸다. 허련의 그림들은 그 시절의 분위기를 한결 생생하게 전달해준다. 화면의 상단에 적혀 있는 글은 이 그림 ‘송하인물도’에서 그 시절 학자들이 느끼고자 했던 주제를 보여준다.
맑은 물 굽이진 데, 푸른 소나무 그늘.
한 사람은 땔나무 지고, 한 사람은 금(琴)을 듣는다.
감정과 본성이 가는 곳은 오묘하여 찾을 수 없으리니,
하늘에 맡겨두면 만나는 것이 맑은 희음(希音)이라.
그림 속 선비는 무릎 아래 금을 내려놓고 앉았지만 금을 연주할 때는 땔감 진 나무꾼이 지나가고 혹은 금 연주를 듣기도 했던 모양이다. 그림 속 선비는 다시 홀로 앉았다. 누구라도 홀로 앉으면 이런저런 생각이 떠오를 것이다. 생각이 많아지면 감정은 요동치기 마련이다. 그러나 호흡을 고르고, 그 생각을 멈추고, 그 감정을 하늘에 맡겨 보라. 그러면 희미하게 울리며 들리는 것이 있다. 그것이 ‘희음’이다.
희음(希音)
희음이란 무엇인가? 희음(希音)이란 ‘드문 소리’다. 쉽게 들을 수 없는 소리란 뜻이다. 원래 이 말은 <노자(老子)에 나온다.
큰 네모는 모서리가 없고, 大方無隅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지고, 大器晩成
큰 소리는 소리가 드물고, 大音希聲
큰 형상은 형체가 없다. 大象無形
이 구절은 보통 사람들이 잘 인지하지 못하는 영역에 대해 말하고 있는 것 같다. 아주 큰 대상은 그 끝이 보이지 않으니 형상을 알 수 없다. 같은 방식으로 아주 큰소리의 파장을 우리는 들을 수 없고, 도량이 매우 큰 인물을 보통 사람은 헤아리지 못한다. 쉽게 보고 듣는 것은 대개 누구나 보고 듣는 사소한 것들이다. 그러다가 마음이 몹시 급해지면 시야는 더욱 좁아지고 귀는 더욱 얇아진다. <노자의 위 구절은 우리의 작아지는 시야에 주의를 요한다. 편협해지지 말고 편향적이 되지 말라. 부디 작은 것에 매달려 흔들리지 말라. 묵직하고 도도하게 흘러가는 큰 흐름이 있다는 것을 잊지 말라고 말이다.
15,000개의 무료 슬롯 사이트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무료 슬롯 사이트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고연희lotus126@daum.net
- (현) 서울대 무료 슬롯 사이트 -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무료 슬롯 사이트로 활동 -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무료 슬롯 사이트로 활동 - 시카고대 동아시아미술무료 슬롯 사이트소 무료 슬롯 사이트원으로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