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at a Glance 진영 간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할 때는 양쪽이 공정하고 투명한 조직문화를 토대로 소통하고 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조선 중기의 학자 김의정은 사화로 혼란에 빠진 조정을 걱정하는 중종의 책문에 ‘공도’를 바로 세우라고 조언한다. 시시비비를 따지기에 앞서 법과 원칙을 지키면서 서로의 생각을 자유롭게 소통하는 문화가 구축돼 있는지 돌아보라는 의미다. 의사결정과 관련해서는 ‘충후’와 ‘정직’의 조화를 강조했다. 어진 마음으로 서로 다른 사람들을 포용하되 개별 현안에서는 맺고 끊음을 분명하게 해야 한다.
좋고 싫음과 옳고 그름[好惡是非]. 심리나 윤리의 영역일 것 같지만 공동체 경영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가치 판단의 기준이 서로 다른 데서 생겨나는 갈등과 대립을 해소해야 하기 때문이다. 1526년(중종 21년) 별시(別試)11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와 같이 비정규적으로 시행된 임시 과거시험
닫기에서도 이 문제가 다뤄졌다.
좋고 싫음과 옳고 그름이 합당해야 조정이 바르게 되고 정치와 교화가 한결같아진다. 지금은 좋고 싫음이 경도되고 옳고 그름이 어긋나 어그러져 있다. … 옳고 그름을 말할 때도 그저 자기 생각만 따를 뿐 공론(公論)을 염두에 두지 않는다. 이를 어찌해야 하겠는가?
중종 21년의 조선은 혼란스러웠다. 7년 전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조광조를 비롯한 선비들이 큰 참화를 입은 이래, 조정에는 강직한 목소리를 내는 신하를 찾아보기 어려웠다. 가뭄과 병충해가 수년째 계속됐고 1526년 들어서는 전국 각지에서 지진이 발생했다. 나라는 위태로운데 신하들은 갈라져 이익을 탐하고 서로를 비난하기에 여념이 없던 시기, 중종이 출제한 책문(策問) 속에는 작금의 상황에 대한 고민이 여실히 드러나 있다.
이러한 중종의 질문에 대해 조선 중기의 학자 김의정(金義貞, 1495∼1547)이 쓴 답안지를 살펴보자. 그는 “조정에서 공도(公道)가 행해지면 선과 악이 변별돼 상벌을 순리대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조정에서 공도가 행해지지 않으면 공론(公論)이 막혀 사람들의 생각이 소통되지 못하니 옳고 그름, 좋고 싫음을 판단하기가 어지러워집니다”22『潛庵逸稿』 卷4, 策, 「好惡是非」 (이하 인용은 모두 이 글이 출처)
닫기라고 답했다.
15,000개의 모바일 슬롯 머신 게임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모바일 슬롯 머신 게임akademie@skku.edu
성균관대 유학동양학과 초빙교수
김준태 교수는 성균관대에서 한국 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 유교문화연구소, 유학대학 연구교수를 거치며 우리 역사 속 정치가들의 리더십과 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현실 정치에서 조선시대를 이끌었던 군주와 재상들에 집중해 다수의 논문을 썼다. 저서로는 『왕의 모바일 슬롯 머신 게임』 『왕의 공부』 『탁월한 조정자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