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조와 정조를 통해 본 바카라 영어로
Article at a Glance
사도세자의 죽음은 정조에게 더할 나위 없는 개인적 불행이었지만 그는 이를 개인의 가정사로 묻고 가고자 했다. 이런 비극을 역사적으로 청산하려고 들면 엄청난 정치적 갈등과 대숙청으로 비화될 게 뻔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조는 훗날 사도세자의 신원 촉구에 대한 상소가 빗발치며 정국이 혼란해지자 결국 사도세자가 억울하게 죽었음을 영조가 공식적으로 시인한‘금등문서’를 공개했다. ‘신원은 없다’던 기존 입장을 번복하고‘신원은 하되 정치적 보복은 없다’로 노선을 바꾼 것이다. 그러나 정국은 안정되기는커녕 당파 간 갈등의 골만 깊어졌다. 사도세자는 아마 정조도 죽고 노론과 남인 등 파벌이 모두 죽은‘그 다음 세대’로 가면 분명히 신원됐을 것이다. 만약 정조가 기존 입장을 번복하지 않고 자제력을 발휘했다면 고종 때 가서야 비로소 가능했던 사도세자의‘장조’추존이 더욱 앞당겨졌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편집자주
영조와 정조가 다스리던 18세기는 조선 중흥의 시대라 불립니다. 하지만 이런 타이틀은 결코 쉽게 얻어진 게 아닙니다. 노론과 소론 간 권력 투쟁이 극에 달했던 시기에 즉위한 두 왕은 군왕의 소임이란 특정 당파의 이익을 대변하는 게 아니라 도탄에 빠져 있는 조선과 백성을 위해 있는 자라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당시로선 너무나 혁명적인 선언인 탓에 수많은 방해와 반대에 직면했지만 이들은 포기하지 않고 자신들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지혜와 용기, 끈기로 무장해 조선의 르네상스를 이끌어 낸 두 임금, 영조와 정조의 기록을 통해 진정한 리더의 자질에 대한 통찰을 얻어 가시기 바랍니다.
1793년(정조17) 8월8일, 정조는 영조가 봉인해 놓은 비밀 하나를 풀어놓았다. 바로‘금등(金縢)문서’다. 금등은 금띠 혹은 쇠줄로 봉한 궤짝이라는 뜻인데 사도세자의 죽음에 대한 비밀이 담겨 있다는 문서였다. 이렇게 갑자기 금등문서를 들춰내놓은 데는 진한 사연이 있었다.
영조는 사도세자를 죽인 후 정조를 보호하기 위해 정조의 아버지를 바꿨다. 정조를 사도세자의 형이었던 효장세자의 아들로 입적시키고, 사도세자에 관한 이야기는 어느 누구도 입에 담지 못하도록 엄명을 내렸다. 그리고 사도세자의 죽음에 대한 진상을 이 문서에 적어 감추게 했다. 문서 은닉의 책임을 맡았던 사람은 당시 도승지로서 나중에 정조의 오른팔이 되는 채제공이었다. 채제공은 영조의 첫 번째 부인이었던 정성왕후의 신주 아래에 금등문서를 숨겼다.
그러나 정조가 사도세자의 아들인 것은 세상 사람들이 다 알고 있는 사실이었다. 정조가 즉위하자 곧바로 사도세자의 신원을 요구하는 상소가 올라오기 시작했다. 물론 진심으로 사도세자를 생각한 사람도 있었겠지만 대부분 정조에게 잘 보이려 하거나 정파적 이해가 들어간 정치적 의도였다고 볼 수밖에 없다. 빗발치는 상소 속에 안동 유생 이응원이라는 사람이 올린 글에는‘사도세자가 억울하게 죽었고 그를 죽인 배후가 노론이니 사도세자를 신원하고 노론을 처벌해 달라’는 적나라한 내용이 적혀 있었다. 영남은 남인의 근거지였고, 이 상소를 받아들인다면 할아버지 영조가 평생을 싸웠던 당쟁이 재연할 것이라고 짐작했던 정조는 이응원을 바로 죽이고, 안동을 부에서 현으로 강등시켜 버렸다.
사도세자의 비극, 개인의 불행을 넘은 정치적 불행
사도세자의 죽음은 정조에게 더할 나위 없는 개인적 불행이었다. 그런데 문제는 이 개인적 불행이 정조의 치세 내내 정치적 불행으로 재생산됐다는 사실이다. 정조는 사석에서 이렇게 한탄했다. “사도세자의 불행에 대해 나처럼 원통한 사람이 있는가? 나는 30년을 매일같이 원한을 삼키며 살아가고 있다.”
비극은 한 번으로 충분하며 사도세자의 비극은 개인의 가정사로 묻고 간다는 게 정조의 입장이었다. 이런 비극을 역사적으로 청산하려고 들면 엄청난 정치적 갈등과 대숙청으로 비화될 게 뻔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노론들이 위기감을 느끼기 시작하면 정조 자신이 위태로워질 수도 있었다. 실제로 정조에 대한 암살 기도가 이미 2번이나 있었다. 하지만 권력과 이익을 탐하는 사람들에게 사도세자의 비극은 너무나 좋은 소재였다. 집권 노론층을 몰아붙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다.
1792년, 사간원의 정언이었던 유성한이 정조에게 상소를 하나 올렸는데 이 상소가 일파만파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됐다. ‘요즘 경연을 자주 땡땡이 치고 궁궐 후원에서 광대와 기생을 불러 놀자판을 만들고 계시다면서요? 이를 바로잡기 위해 간언을 드리지 못했으니 사직하겠습니다’는 내용이었다. 어찌 보면 임금에게 쓴소리 한번 올리는 평이한 상소에 불과했지만 유성한이 마침‘노론’이었기 때문에 그의 말투와 내용이 남인들로부터 집중 포화를 받게 된다. ‘유성한의 아버지와 친구들이 흉악한 말을 하고 다니고, 경종의 묘를 지날 때도 말에서 내리지 않는다’는 소문까지 더해지며 유성한의 상소는 경종을 부정하고 사도세자를 무시하는 내용으로 확대 해석됐고, 사간원, 사헌부, 승정원 관료뿐 아니라 좌의정, 우의정, 형조판서에 이르기까지 모두 탄핵돼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왔다. 급기야는 영남 유생의‘만인소’로까지 퍼졌다. 1만 명이 넘는 영남의 유생들이 유성한을 처벌하고 사도세자의 신원을 촉구하는 상소에 서명한 것이다.
바카라 영어로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바카라 영어로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
회원 가입만 해도, 바카라 영어로 월정액 서비스 첫 달 무료!
15,000여 건의 바카라 영어로 콘텐츠를무제한으로 바카라 영어로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