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출신의 프랑스 화가 펠리체 바리니(Felice Varini, 1952∼)는 캔버스가 아닌 현실 공간을 이용한 작업으로 유명하다. 그는 기존의 건물 내부나 복도 혹은 건물의 외벽이나 시설물, 심지어 바닥에까지 페인트를 칠해 완벽한 3차원의 이미지를 만든다.
그가 만든 작품을 하나 감상해보자.(사진 1) 고풍스러운 건물에 일정한 패턴의 빨간색 문양이 덧입혀졌다. 지금 이 사진을 보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은 이 작품이 완벽한 3차원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짐작하듯이 이 이미지는 하나의 가상, 즉 환영에 불과하다. 사진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지만 이 작업에는 하나의 비밀이 있다. 관람객들이 미리 정해진 특정한 지점에서 그 이미지를 바라봐야 한다는 사실이다. 그 지점을 조금만 벗어나도 3차원의 이미지는 허물어지고 만다.
같은 이미지를 다른 지점에서 찍은 또 하나의 사진에서 이 사실을 잘 보여준다. (사진 2) 이 사진에서는 3차원 이미지가 발견되지 않는다. 그저 무의미하게 흩어진 파편적인 띠만 존재할 따름이다. 사람들은 이 작품이 가상에 지나지 않음을 알면서도 흥미진진한 가상을 감상하기 위해서 기꺼이 특정한 지점으로 자신의 몸을 옮기는 수고로움을 마다하지 않는다. 환영이 환영임을 감추려던 르네상스 시대의 원근법 회화와 달리 그의 작품은 그것이 스스로 가상임을 드러냄으로써 사람들에게 새로운 즐거움을 선사하는 것이다.
이는 프랑스 사회학자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 1929∼2007)의 ‘디즈니랜드’를 떠올리게 한다. 그는 디즈니랜드를 가상의 세계로 이해한다. 사람들은 현실에서 벗어나 티켓을 끊고 디즈니랜드에 들어선 순간 만화 캐릭터와 디즈니 시리즈물로 재현된 가상의 공간을 마음껏 즐긴다. 물론 어느 누구도 이 공간을 현실로 착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마침내 디즈니랜드의 출구를 나서는 순간 그러한 가상은 신기루처럼 없어지고 막막한 현실의 공간으로 돌아오게 된다. 보드리야르가 주목하는 것은 바로 이 순간이다. 사람들은 디즈니랜드의 가상공간에서 빠져오는 순간, 이제 그러한 가상이 제거된 현실세계로 돌아온다고 믿는 것이다.
그러나 보드리야르에 따르면 현실 또한 가상의 세계에 지나지 않는다. 가정으로 돌아와서 아버지 혹은 어머니라는 가상의 연극을 해야 하며 다음날 회사에서는 과장 혹은 대리라는 가상의 연극을 해야 한다. 디즈니랜드라는 가상의 공간은 마치 디즈니랜드 바깥의 공간, 즉 우리가 현실세계라고 부르는 이 공간이 가상과 아무런 상관이 없는 진짜 현실 공간처럼 느껴지게 만드는 기능을 한다.
‘가상’이라는 단어가 최근 자주 사용되고 있다. 가장 이슈가 된 단어는 바로 ‘가상화폐’다. 물론 이 단어 자체가 아직은 정립이 되지 않아서 국내에서 논란이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어권에서도 가상화폐(우리카지노추천 currency), 가상통화(우리카지노추천 money) 등의 용어뿐만 아니라 암호화폐(crypto currency) 등이 사용된다. 그 용어야 어찌 됐든 간에 이 새로운 가상화폐는 말 그대로 기존의 화폐와 달리 ‘가상’이라는 특성 때문에 그 실체를 규명하기가 쉽지 않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이 가상의 화폐가 투기의 대상이 돼버렸다는 사실이다. 주요 외신에서도 비상한 관심을 갖고 다룰 만큼 우리나라의 가상화폐에 대한 투자(아니 투기) 열기는 가히 광풍이라고 할 수 있을 만하다. 급기야 정부는 이러한 현상을 진압하기 위해서 거래소 폐지를 암시한 언급까지 했다. 이 가상의 세계는 실체가 없는 세계이기 때문에 거품일 수밖에 없으며 마치 ‘바다이야기’와 같은 도박의 세계에 불과하다는 것이 정부의 인식이다.
거품이 걷힐 경우 아무런 실체도 남지 않을 것이기에 그 순간에 카드를 쥐고 있는, 즉 가상화폐를 소유하고 있는 누군가는 막대한 피해를 당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위험을 사전에 공지하고 합법적인 수단으로 방어해야 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라고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