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經營
경영계에 인문학 열풍이 불고 있습니다. 세파에 시달린 경영자들의 단순한 호기심 때문일까요? 전문가들은 21세기 초경쟁 시대에 인문학적 상상력이 없으면 결코 경쟁에서 승리할 수 없다고 강조합니다. 또 철학과 윤리적 기반이 없는 기업은 지속 성장이 어렵다고 주장합니다. 효율성과 생산성에 매달리면서 앞만 보고 내달려온 한국 기업들이 급변하는 경쟁 환경에서 최근 인문학으로 눈을 돌린 것은 어쩌면 생존을 위한 필연적 선택인지도 모릅니다. 동아비즈니스리뷰(바카라 꿀팁)는 한국 최고의 전문가들과 함께 인문학이 경영에 주는 통찰이 무엇인지를 집중 분석했습니다.
|
문권모 기자 mikemoon@donga.바카라 꿀팁
김아연 정보검색사 aykim@donga.바카라 꿀팁
도움말 김호인 포스코경영연구소 연구위원 dortiz@posri.re.kr
일본에서 ‘바카라 꿀팁44032; 존경하는 리더’로 불리는 이나모리 가즈오(稻盛和夫)는 1959년 27세의 나이로 ‘교토세라믹(훗날의 교세라)’을 창업했다. 그가 애초에 기업을 세운 목적은 ‘이나모리 가즈오의 기술을 세상에 내놓아 심판받기 위해서’였다. 창업 3년째의 어느 날 고졸사원 11명이 혈서를 들고 그에게 찾아와 임금과 장래 보장을 요구했다.
이나모리는 요구를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었다. 이제 막 ‘걸음마’를 시작한 마당에 지키지도 못할 약속을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는 직원들을 집으로 데려가 “자네들을 배반하면 그때는 나를 죽여도 좋다”고 3일동안 설득했다.
이 과정에서 이나모리는 기업 경영은 단순히 자신의 기술을 펼치는 것이 아니라 직원과 사회에 대한 무거운 책임을 져야 하는 것임을 깨달았다. 그는 몇 주간의 고민 끝에 ‘물심양면에 걸친 전 직원의 행복을 추구하고 인류사회의 발전에 공헌한다’는 기업의 사명(使命)을 발표했다. 이후 기회가 되는 대로 “기업에는 고매한 목적, 즉 대의명분이 있어야 한다”고 설파했다. 교세라의 기업 이념은 불교(자비·慈悲)와 유교(경천애인·敬天愛人)에 기반을 둔 것으로, 종교와 철학사상을 경영에 반영한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최근 국내외 경영계에 인문학 열풍이 불고 있다. 그 관심은 철학, 종교, 심리학, 문학, 역사학을 비롯해 예술까지 다양한 분야에 미치고 있다.
서울대가 지난해 가을 개설한 인문학 과정 AFP(Ad Fontes Program)는 기업 바카라 꿀팁46308;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2기 모집에서 경쟁률이 너무 높아 쟁쟁한 기업을 이끄는 기업인도 탈락했을 정도다.
또 삼성경제연구소의 월례조찬 특강인 ‘메디치21’에는 매달 600명 이상이 참석해 역사, 문화, 미술을 배운다. 3년 전 처음 문을 열었을 때만 해도 수강생이 100명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인문학 열풍은 해외에서도 거세다. 미국 대학의 인문학 계열 홈페이지는 ‘인문학이 경영학에 도움이 되는 이유’와 같은 게시물로 도배되다시피 한 상태. 세계적 명성의 스페인 엠프레사(Empresa) 경영대학원은 신입생들에게 의무적으로 인문학 강의를 듣게 한다. 또 구글은 지난해 학부에서 인문학을 전공한 하버드 경영대학원 졸업생을 특별 채용하기로 했다.
인문학이 각광 받는 이유
인문학이 이렇게 각광을 받는 이유는 기업의 경영 환경이 급속히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기업을 둘러싼 환경은 점점 복잡해지고 있으며, 글로벌화도 급속히 추진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기업이 이런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갈수록 단편적 지식보다는 인문학이 가진 종합적인 사고력과 문제해결 능력, 국제적 감각을 가진 인재를 요구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루 거스너 IBM 회장은 “기업은 직원들에게 기계의 조작법이나 마케팅 플랜 만드는 법을 손쉽게 가르칠 수 있다. 하지만 생각하는 법을 가르치는 것은 정말 골치 아픈 일”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인문학은 상상력의 원천이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기술적 차별화가 어려워지고, 어디서나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오늘날의 환경에서는 지식을 서로 연결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상상력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인문학은 창의적 발상을 이끌어내는 직관력의 자양분이라는 것이다.
칼리 피오리나, 역사에서 디지털 태동 예견
현재의 ‘인문학 열풍’을 살펴보면 인문학적 지식을 경영에 응용하는 것이 마치 새로운 트렌드인 것처럼 보인다. 얼마 전만 해도 ‘인문학의 위기’가 이슈가 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교세의 사례에서 보듯 인문학적 지식과 가치를 이용해 성공을 이뤄낸 기업이나 기업인의 사례는 생각보다 많다.
칼리 피오리나 전 HP 회장은 대학에서 역사학과 철학을 전공했다. 그는 경제학이 아니라 중세 철학에서 비즈니스에 대한 분석력을 키운 것으로 유명하다. 또 기회가 될 때마다 “중세가 르네상스 시대로 이행한 것에서 디지털 시대의 도래에 대한 영감을 얻었다”고 이야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