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전부터 국내에도 레저 열풍이 불기 시작했다. 신문에는 등산복 광고가 넘쳐난다. 일부 업체는 아동용 등산 의류까지 내놓기 시작했다. 강변에는 자전거 타는 사람 천지다. 올해 여름부터는 오토캠핑 바람이 불어 캠핑 용품이 불티나듯 팔리고 있다.
한국 사회는 전통적으로 장시간 노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해왔다. 1970년대 고도성장기 이후 노동은 미덕이자 성공의 지름길로 여겨졌다. 이런 경향은 최근까지 이어져 OECD 국가 중 연간 노동 시간이 가장 긴(2006년 기준 2360시간) 나라가 바로 한국이다. 그런데 신세대의 등장과 노동 환경의 변화로 인해 이런 모습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레저 열풍은 이제 한국에서도 선진국형 라이프스타일이 보편화되는 증거다. 소득 수준이 2만 달러가 넘으면서 확대된다는 아웃도어 시장은 2003년 이래 2배 이상의 성장을 기록했다. 불황으로 약간의 타격을 입고 있기는 하지만, 문화 레저비 지출도 2000년 이후 매년 꾸준히 10% 이상 상승하고 있다. 연간 노동 시간도 느리기는 하지만 계속 줄어들고 있다. 기업들이 노동 생산성과 노동의 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충분한 휴식과 여가 활동이 필요함을 인식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앞으로 ‘여가’란 화두는 더욱더 중요해질 것이다. 여가는 개인에게는 휴가를 뜻하지만, 기업에는 소비자 취향의 변화와 이에 따른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의 창출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한국 여가 트렌드의 기본적 변화
기업은 앞으로 여가의 모습이 어떻게 달라질 것이며, 이로 인해 소비 시장에 어떤 기회가 생겨날 것인지에 촉각을 곤두세워야 한다. 국내 여가 트렌드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여가의 향유 계층과 그 종류가 다양해진다는 점이다. 이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 <그림1이다. <그림1은 여가 활동의 형태가 ‘고시간-고비용/저시간-저비용’에서 ‘고시간-저비용/저시간-고비용’으로 움직이고 있음을 설명한다.
과거의 여가는 ‘시간과 돈이 있는 계층’ 또는 ‘돈은 없지만 시간이 많은 계층(대학생, 전업주부, 은퇴 이후의 노년층)’에 한정돼 있었다. 부유층은 해외 여행과 (지금은 비용이 많이 낮아졌지만) 골프, 스키 등 시간과 돈이 모두 많이 드는 활동을 즐겼다. 직장인들은 어쩌다 생기는 여가 시간을 TV나 비디오 시청, 낮잠, 영화 관람 등의 수동적 여가 활동으로 채웠다. 이는 여가라는 영역이 시간과 돈의 확보에 따라 확연하게 양극화됐음을 뜻한다. 여가의 형태 역시 매우 단순했다.
그러다 2000년대에 들어 △직장에 대한 개념의 변화(외환위기의 영향이 컸음) △기성세대와 판이하게 다른 직업관 및 노동관을 가진 X세대의 사회 진출 △여성들의 사회 참여 등 변화가 일어나면서 일과 삶에 대한 ‘다른 생각’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개인화가 지속되면서 직장 중심의 문화가 가족 중심의 문화로 전환된 탓도 컸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이전과 다른 ‘고시간-저비용’과 ‘저시간-고비용’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영역들이 여가 활동의 중심이 되고 있다.
우선 사람들의 취향이 개성화·고급화되면서 평소 쉽게 할 수 없는 일(명사와의 식사)이나, 특별한 기술(최고급 레스토랑의 셰프에게 배우는 요리 강좌, 와인 클래스)에 대한 비용 투자도 아깝지 않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런 사람들은 여가 활동을 통해 차별화된 경험을 추구하며, 이를 통해 라이프스타일을 업그레이드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아마추어로 시작했던 여가 활동이 강화되면서 프리랜서 전문가로 직업을 바꾸는 경우도 있다.
동시에 여가를 즐기기 위해서는 비용과 시간을 많이 들여야 한다는 과거의 고정관념을 버리고,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시간과 비용의 자원 투입을 조절하는 다양한 여가 형태도 나타나고 있다. 주 5일제 도입 이후 한국인들이 선택한 가장 보편적 여가 활동인 등산이 대표적인 예이다. 등산은 비교적 저렴하게 즐길 수 있고, 개인의 능력에 따라 행선지와 소요 시간을 조절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