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한국인의 1인당 명품 소비가 전 세계 1위를 차지했다. 한국의 명품 열풍을 이해하기 위해선 욕망과 경제력에 관한 한국 사회의 변천사를 이해해야 한다. 1980년대 중반부터 한국 사회의 경제력은 크게 높아졌고, 해외여행이 자유화되며 사람들이 해외 명품 세계에 눈을 뜨게 됐다. 주머니가 넉넉해지고 소비의 기회가 넓어지자 그간 억눌렸던 소비에 대한 열망이 폭발한 것이다. 외환위기를 겪으며 한국 경제가 어려운 때를 맞아 소비가 금기시되기도 했지만 이후 경제 회복 과정에서 소비가 장려됐고 부익부 빈익빈이 심화되면서 상류층을 중심으로 명품 시장은 회복됐다. 최근 2030세대가 중심이 되는 한국인의 명품 사랑은 저출산과 미혼 또는 비혼 등으로 본인을 위한 소비가 늘어난 결과로 풀이할 수 있다. 부동산값 폭등으로 현재를 더욱 즐기자는 기조 역시 명품 소비를 더욱 부추긴다.
고백건대 아이가 몇 해 전서울 시내 한 사립초등학교에 덜컥 당첨됐을 때 가장 신경 쓰이는 것이 재력이었다. ‘워킹맘의 빈자리를 더 잘 챙겨주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사립초를 선택하긴 했지만 아무래도 부유층 자녀들이 많이 다니는 곳이라 아이도 나도 괜히 기가 죽을까 걱정이 됐다. 아니나 다를까. 입학식에 나타난 대부분의 어머니들 손에는 1000만 원쯤 한다는 에르메스 백과 샤넬 백이 들려 있었다. 명품은 본래 구별되고자 하는 욕망에서 출발했지만 적어도 그 공간에서 제일 구별되는 것은 명품 백을 들지 않은 나인 듯 보였다.
한국인의 명품 사랑은 유별나다. 올해 초 미국의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2022년 한국인의 1인당 명품 소비가 전 세계 1위를 차지했다고 발표했다. 한국인은 지난해 명품에 1인당 평균 325달러(약 40만 원)를 썼다. 미국은 280달러, 중국은 55달러라고 하니 G2를 이긴 셈이다. 총액으로 따지면 2022년 한국인은 무려 168억 달러(20조 원)어치 명품을 구매했고 이는 2021년에 비해 24%나 증가한 수치다. 프라다는 2022년 중국 매출이 7% 이상 줄었지만 한국에서의 매출 호조로 손실을 대부분 만회했다고 한다.
어디 이뿐인가. 한국인의 명품 사랑은 감염병도 이겨냈다. 시장 조사 업체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0년 한국의 명품 매출(125억420만 달러)은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125억1730만 달러)에 비해 거의 줄지 않았다. 같은 기간 전 세계 명품 매출이 19%나 감소한 것에 비하면 미동도 없는 셈이다. 몽클레르(Moncler)의 경우 2022년 한국 매출이 코로나 이전에 비해 두 배 이상 증가했고, 카르티에(Cartier), 피아제(Piaget) 등을 소유한 리슈몽(Richemont)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은 매출이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증가한 거의 유일한 지역이었다.
15,000개의 메이저 바카라 사이트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메이저 바카라 사이트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김수경sookim@hs.ac.kr
한신대 메이저 바카라 사이트 교수
필자는 서울대 언어학과를 졸업하고 메이저 바카라 사이트 기자로 근무했다. 스탠퍼드대(Stanford University)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국제 대학원 연구교수,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을 거쳤다. 현재 한신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